한국에서 외국인이 은행 계좌를 개설하려면 어떤 절차가 필요할까요? 이 글에서는 비자 조건, 필수 서류, 추천 은행, 송금 방법까지 2025년 기준으로 총정리했습니다. 장기 체류 외국인이라면 반드시 확인해야 할 정보들을 한눈에 정리해 드립니다. 참고로 하단부에 간략히 영어 요약정보도 확인해 주세요.
목차
외국인도 한국에서 계좌를 만들 수 있나요?
정답부터 말하면, 가능합니다. 외국인은 한국에서 은행 계좌를 개설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은행마다 요구하는 비자 종류, 체류 목적, 입국 후 경과 일수 등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준비 서류를 사전에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계좌 개설 시 필요한 서류
먼저 준비해야 할 서류부터 확인해보겠습니다. 참고로 단기 관광비자(B-2) 소지자는 일반 입출금 계좌 개설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장기 체류자인 유학생이나 근로자, 혹은 배우자 비자 소지자에게 적합한 안내이니 체크해 두시기 바랍니다.
항목 | 설명 |
여권 | 실물 지참 필수 |
외국인등록증 (ARC) | 체류 기간 90일 이상일 경우 반드시 필요 |
거주지 증명 서류 | 공공요금 청구서, 임대차계약서, 재직증명서 등 활용 가능 |
한국 휴대전화 번호 | 문자 수신 인증 필요 (계좌 개설 시 필수) |
직장 또는 학교 서류 | 급여 통장이나 유학생일 경우 추가로 요청될 수 있음 |
외국인에게 추천하는 은행
그렇다면 어떤 은행을 선택해야 할까요? KEB하나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3가지를 추천드립니다. 홍대나 이태원, 또는 주요 대학교 인근의 지점들을 가보시면 외국인을 위한 전용 창구 등이 많습니다. 위의 3가지 은행도 그러한 특징이 있기 때문에 추천드립니다. 자세한 내용을 아래에서 확인해 보세요.
은행명 | 외국인 친화도 | 외국어 지원 | 주요 특징 |
KEB 하나은행 | 매우 높음 | 영어/중국어 가능 | 외국인 전용 창구, 글로벌 송금 서비스 운영 |
신한은행 | 보통 이상 | 일부 지점 가능 | 외국인 대상 상담 지점 있음 |
우리은행 | 보통 | 제한적 | 대학가 지점 등은 외국인 대응 경험 있음 |
계좌 종류
발급할 수 있는 계좌 종류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참고로 개설 후 30일 이상 미사용 시 자동 정지 될 수 있으니 개설 후 일정 금액 이상 입출금이 필요하다는 점도 기억해두시기 바랍니다.
1. 입출금 통장: 일반적인 통장으로 급여 입금, 체크카드 연동 가능
2. 외화 계좌: 해외 송금 또는 외화 보유 목적
3. 외국인 전용 계좌: 일부 은행에서 외국인 전용으로 제공하는 특화 상품
해외 송금 및 외화 수령 방법
한국 주요 은행은 외화 송금 및 수취가 가능한 인터넷뱅킹 및 외환창구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송금 내역서가 필요한 경우, 개설 시 또는 송금 후 영문 발급 요청이 가능합니다. 추천하는 송금 서비스도 아래에서 확인해보세요.
영어 요약 정리 (Summary in English)
How to open a bank account in Korea
- Bring your passport, ARC, proof of residence, and a Korean phone number
- Recommended banks: KEB Hana, Shinhan, Woori
- Choose foreigner-friendly branches (Itaewon, Gangnam, Hongdae)
- Dormant accounts may be closed after 30 days of inactivity
- For remittance, use Wise, PayPal, or Hana Bank
함께 보면 좋은 글
한국에 체류 중인 외국인을 위한 한국 유심칩 및 esim 비교글도 아래에서 확인해 보세요.
외국인을 위한 한국 유심 & eSIM 구매 가이드|2025년 단기·장기 체류자 맞춤형 요금제 비교
2025년 현재, 한국에 체류 중인 외국인에게 적합한 유심칩과 eSIM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이 글에서는 외국인이 유심을 개통하기 위해 필요한 서류, 통신사별 요금제 특징, 단기·장기 체류자별 추
informationbooth.tistory.com
'생활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K-원패스 vs K-패스|대중교통 할인 제도 완벽 비교 (2025 최신판) (1) | 2025.04.25 |
---|---|
외국인을 위한 한국 유심 & eSIM 구매 가이드|2025년 단기·장기 체류자 맞춤형 요금제 비교 (2) | 2025.04.24 |
VPN 요금제 및 환불 정책 비교|무료 체험이 가능한 VPN은? (1) | 2025.04.23 |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 방법과 사용처|지갑 없는 생활 시작하기 (3) | 2025.04.22 |
모바일 신분증 발급 방법 총정리|정부24 앱부터 사용처까지 완벽 안내 (1) | 2025.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