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교해보기

[임대주택] 혼동하기 쉬운 두 임대주택 비교 (LH공공임대, 국민임대주택)

반응형

공공임대, 국민임대, 행복주택, 매입임대... 이름은 비슷한데 많이 헷갈립니다. 부동산과 관련된 카페나 커뮤니티에서도 가장 자주 나오는 질문 중 하나가 바로 LH공공임대와 국민임대의 차이점입니다. 하지만 신청하려고 하면, 두 제도가 겹쳐 보여서 선택이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국민임대와 공공임대의 개념을 정확히 정의하고, 어떤 점에서 다른지 표로 명확하게 비교해 보겠습니다. 

 

 

 

개념 알아보기

  • 공공임대주택: 정부가 제공하는 모든 임대주택 유형을 총칭하는 개념입니다. LH공사, SH공사, 지자체 등이 공급하며, 국민임대, 행복주택, 전세임대 등 다양한 유형이 이에 속합니다.
  • 국민임대주택: 공공임대주택 중에서도 중저소득 무주택 가구를 위한 장기 임대주택입니다. 시세 대비 저렴한 보증금과 월세가 특징이며, 가장 보편적인 유형입니다.

 

주요 차이 비교해보기

위에서 살펴본 개념을 바탕으로, 아래 간략히 차이점을 표로 나타내보겠습니다. 대상과 자산 조건, 임대 기간 및 보증금 등의 항목을 잘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항목 국민임대주택 (광의의) 공공임대주택
대상 중저소득 무주택자 청년, 신혼부부, 고령자 등
자산/소득 조건 엄격함 유형별로 상이함
임대 기간 최장 30년 2~30년 유형별 상이
보증금/월세 매우 저렴 상대적으로 다양함
입주 대상 폭 제한적 폭넓음 (청년~노년층 포함)
공급 방식 신축 위주 신축 + 매입 + 전세 혼합

 

 

나에게 맞는 임대주택은? 

그렇다면 나에게 적합하고 효율성 있는 임대주택은 무엇일까요? 내가 현재 놓여있는 상황을 잘 고려해서 선택해 보시기 바랍니다. 

먼저 국민임대는 이런 분들께 적합합니다.

  • 연소득이 일정 기준 이하인 중저소득 가구
  • 무주택 상태를 장기간 유지해 온 분
  • 자산이 적고, 주거 안정성이 필요한 가구
그리고 공공임대는 이런 경우 선택의 폭이 넓습니다. 
  • 청년/대학생 등 소득이 거의 없는 경우
  • 고령자, 장애인 등 특별공급 대상
  • 신혼부부로 초기 자산이 부족한 경우
 
 

한눈에 알아보기

위에서 언급했던 내용들을 다시 한번 보기 쉽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어떤 상황에서 어떤 임대주택이 더 적합한지 실질적인 판단 기준을 세워보세요. 

국민임대 공공임대
공공임대의 한 유형 전체 개념
중저소득층 대상 다양한 계층 대상
임대료 저렴, 조건 까다로움 다양한 유형, 선택 폭 넓음

 

 

함께 보면 좋은 글

 

[공공임대주택] 신청방법 (서류부터 입주까지 절차 총정리)

내 집 마련이 어려운 이 시기에 공공임대주택을 검색해보고 찾아보시는 분들이 많을 것입니다. "집값이 너무 비싸서 엄두가 안 나요.", "전세도 힘든데, 월세 내는 것도 빠듯해요." 이러한 말들은

informationbooth.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