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직장인꿀팁

퇴직연금 수령 방법 및 절세 전략 총정리|IRP·DC·DB 설명

728x90

오랜 기간 근무했던 회사를 나오면서 받을 수 있는 퇴직금. 하지만 어떻게 수령해야 절세가 될까요? IRP, DC, DB형 퇴직연금의 차이부터 수령 방식, 연금소득세까지 퇴직자라면 꼭 알아야 할 절세 전략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퇴직연금, 받는 방법만 달라도 세금이 달라진다.

직장생활의 끝에서 만나는 퇴직금. 많은 분들이 퇴직금을 ‘일시금’으로 받거나, 그냥 IRP에 넣고 방치하곤 합니다. 그러나 수령하는 방식에 따라 수령액에 큰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번엔 퇴직연금의 유형별 수령 방식과, 세금을 줄이는 전략까지 자세히 정리해보겠습니다. 아래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퇴직 연금 제도의 3가지 유형

퇴직 연금 제도는 크게 3가지로 나뉩니다. DB형, DC형, 그리고 IRP가 있는데 각각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DB형 (확정급여형)

  • 회사가 퇴직 후 받을 금액을 사전에 정해주는 구조
  • 투자 책임은 회사에 있음
  • 퇴직 시 연금 or 일시금 선택 가능
  • 퇴직금이 안정적으로 보장되나 수익률이 낮을 수 있음

2. DC형 (확정기여형)

  • 회사가 매월 일정 금액을 납입하고, 직원이 직접 운용
  • 수익률에 따라 연금 자산의 크기가 결정됨
  • 퇴직 후 IRP로 이관하여 수령 가능
  • 투자에 능숙하다면 DB형보다 더 많은 자산 마련 가능

3. IRP (개인형퇴직연금)

  • DB·DC형 퇴직금을 퇴직 후 이관하는 대표적인 수령 방식
  • 본인의 추가 납입도 가능 (세액공제 혜택 있음)
  • 55세 이후 연금 수령 시 연금소득세 적용

 

퇴직연금, 어떻게 수령해야 유리할까?

그렇다면 이 퇴직 연금은 어떻게 수령해야 나에게 유리할까요?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수령이 가능합니다. 참고로 세금의 부담을 줄이고 싶다면, 연금 수령 방식이 절대적으로 유리함을 참고하세요. 

수령 방식 설명 과세 방식
일시금 수령 한 번에 전액 인출 퇴직소득세 (누진세율)
연금 수령 일정 기간 나눠 받기 연금소득세 (5.5~3.3% 세율로 우대)

 

 

연금 수령 시 절세 전략 3가지

그렇다면 절세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은 무엇일까요? 3가지로 살펴볼 테니 아래 내용에서 확인해 주세요. 

 

1. IRP에 이관하고, 55세 이후 연금 개시 

  • 연금 개시 전에 인출하면 기타 소득세(16.5%) 부과
  • 55세 이후부터 연금으로 받으면 세율 대폭 인하 (3.3~5.5%)

2. 수령 기간을 길게 설정하라

  • 연금 수령 기간을 10년 이상으로 설정하면 세율이 더욱 낮아짐
  • 예: 10년 이상 → 5.5%, 20년 이상 → 3.3%

3. 매년 수령액을 조절해서 종합소득세 기준선 보다 낮게 잡자

  • 다른 소득(사업, 임대 등)과 합산되지 않도록 연간 수령액 조정
  • 소득 구간 내에서의 절세 설계 중요

 

실제 예시로 이해해 보기

만약 내가 60세에 퇴직금 1억을 수령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아래 표를 보시면 같은 금액을 받더라도, 수령하는 방법에 따라 1,000만 원 이상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방식 세후 수령액 특징
일시금 약 8,000만 원 퇴직소득세 공제 후 일시 인출
연금 (10년 분할) 약 9,400만 원 연금소득세로 낮은 세율 적용

 

 

함께 보면 좋은 글

퇴직연금은 단순한 돈이 아닌, 노후를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에 대한 설계 도구입니다. 즉, 노후의 전략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이해 없이 단순히 수령만 한다면, 그 순간 손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설계만 잘 세운다면 절세와 안정적인 노후자금 모두를 얻을 수 있으니 꼭 정확히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퇴사 전 꼭 해야 할 7가지 준비 (후회 없는 퇴사를 위한 완벽 가이드)

큰 마음을 먹고 회사를 그만두겠다고 결심했지만, 그 이후를 생각해 본 적이 있으신가요? 몸과 마음이 지치고 너무 과중한 업무로 건강까지 잃을 정도라면 지금 하는 일이 맞는 것인지 고민이

informationbooth.tistory.com

 

퇴사 후 가능한 현실적인 부업 5가지 (2025년 트렌드)

다니던 직장이 너무 힘들어서 퇴사를 결심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큰 결심을 하고 마음가짐을 새로 했지만, 현실적으로 생활을 이어나가려면 결국 수익이 있어야 합니다. 다른 직장을 구

informationbooth.tistory.com

 

 

 

 

 

반응형